누하동 181번지에는 청전화숙과 함께 청전 이상범 화백의 집이 보존되어 있다. 청전 이상범 화백은 1928년, 조선일보에서 동아일보로 자리를 옮겨 삽화를 그렸는데, 1936년 손기정 옹의 마라톤 금메달 보도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우고 경찰에 잡혀갔다가 풀려난 후 동아일보를 그만두게 된다.
청전 화백이 동아일보에 재직하던 때인 1935년 동아일보에 연재되던 소설인 <흑두건(黑頭巾)>에도 청전의 삽화가 들어있는데, 그 중에 1935년 2월 9일자 220회 연재에서는 서울 지리, 그 중에서도 서촌에 대한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 소개한다.
黑頭巾 <220> - 동아일보(1935.2.9.)
윤백남(尹白南) 작
이청전(李靑田) 화
강항은 동대문박 복차다리께서부터 술을 마시기 시작하야 야주현에 이르기까지에 수없이 술을 사서 먹엇다.
억병같이 취한강은 무슨 생각이 낫던지 야주현에서 위대로 가는 길로 드러섯다.
거기서부터 그는 완전히 정신을 잃었다. 어디를 어떠케 헤매고 돌아다니엇던지 그는 금충교 대리에 와서 씨러지고 말엇다.
인적이 끄닌 금충교 돌다리 위에서 그는 업드러진 그 자세대로 인사불성에 빠지고 말엇다.
...(중략)...
그러나 치위보다 더 그를 괴롭게한것은 갈ㅅ증이엇다.
목은 말러부터서 기침을 할 대 마닥 앞엇다. 그리고 입에는 침 한 점이 없어서 혀가 맘대로 돌지 안는다.
이 개천물이 만일에 훨씬 상류이엇더면 그는 의당 개천물이라도 손으로 훔켜서 목을 축엿을것이지마는 금충교 개천은 수채나 다름없는 더러운 물이라 아무리 갈ㅅ증이 심하다 하드라도 차마하니 그 물을 마실 수는 없었다.
인용된 부분에 나오는 지명을 살펴보자면, '복차다리'는 현재의 창신동으로 대략 동대문역과 동묘앞 역 사이 쯤이 되고, 야주현은 지금의 세종문화회관 뒷쪽 당주동 일대를 일컫는다고 한다.
강항이라는 주인공은 동대문에서부터 술을 이어마시며 걷다가 결국 야주현에서 위대로 들어가는 길에 들어선다. 위대는 '웃대'라고도 하는데, 소설에 표기된 것으로 보아 30년대 당시에는 '웃대' 보다는 '위대'라는 발음이 더 일반적이었던 듯 하다. 혹은 30년대 당시 조선시대의 지명을 고증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당주동에서 위대로 접어드는 길이라면 세종문화회관 뒤에서 종교교회 앞을 지나 경복궁역으로 향하는 북서방향의 길이 되는 셈인데, 결국 주인공은 지금의 경복궁역인 금천교 돌다리에 이르러 정신을 잃고 만다.
지금은 '금천교시장'이라는 이름이 가장 흔히 불리는 이름이고, 얼마 전부터는 고약하게도 종로구청에서 '세종마을음식문화의 거리'라는 생뚱맞은 이름을 붙여버리기도 했지만, 예전 신문기사를 찾다보면 '금충교'라고 부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금천교는 1928년에 일제가 길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헐려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흑두건이라는 소설의 배경이 금천교가 헐리기 한참 전인 조선 광해군 때인 탓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