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uit_city_00 by redslmdr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도시의 항공사진과 컴퓨터 회로의 현미경 사진은 상당히 비슷하다. 특히나 공단지대 같은 경우는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 인위적인 도시계획을 통해 조성된 도시일수록 둘은 더 구분하기 어렵다. 위의 이미지는 다음지도에서 한국GM 부평공장을 캡춰한 것을 80387 CPU 회로사진과 같은 크기로 붙여 본 것이다.

다른 요소들의 유사성들도 짚어보면 둘은 단순히 겉모양에서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면에서 비슷하다. 같은 기능을 가지는 단위는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이 유리하고, 그렇게 기능 모듈을 형성한다. 서로 교통이 빈번한 모듈 끼리는 인접한 것이 유리하고, 그렇게 또 단위 모듈이 된다. 단위 모듈들은 각각의 기능 모듈간의 연결 모다 넓은 폭으로 연결되며 전체 모듈을 이루고, 전체 모듈이 외부와 이어지는 연결은 모듈 내에서 가장 큰 폭의 연결이 된다. 도시에서는 '주도로'가 되고 회로에서는 '버스'가 된다. 도시도, 회로도 이러한 요소와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설계하는 설계자가 있다.

계획된 도시에서 사는 것은 마치 회로의 도선 위를 질주하는 하나의 전자 입자가 된 듯 한 느낌이다.

덧붙여 한 가지 재미있는 얘기를 더 해보자면, 회로의 도선 위를 질주하는 전자의 속도는 도선의 넓이에 비례하여 빠르다. 세부 연산이 일어나는 좁은 도선 위의 전자가 더 느리고, 데이터가 외부로 연결되는 넓은 도선 위의 전자는 더 빠르다. 도시 내에서도 일반 도로 보다는 골목에서는, 골목 보다는 주차장에서는 속도가 더 느릴 수 밖에 없고, 도시 순환도로나 도시 간 고속도로에서는 속도가 빠른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클럭(CLK)이다. 회로는 지금 보다 더 작게 만들 수 있지만, 그 위를 질주하는 전자의 속도가 제각각이라면 회로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각각의 전자가 저마다 자신의 속도로 도선을 달리는 것이 아니라 회로 전체에서 기준이 될 수 있는 시점을 제공해서 속도를 통제해야 한다. 전자회로에서 시점 제공은 클럭이 하고, 이 기준시점에 맞춰 전자의 속도를 정렬하는 일은 레지스터가 한다.

클럭과 레지스터 기능은 바로 드러나지 않지만, 클럭과 레지스터가 더 빠른 회로를 가능하게 할수록 회로는 더욱 작고 조밀해진다. 그렇다면 도시에서의 클럭과 레지스터는 무엇일지 생각을 펼쳐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다.

* 한국GM 부평공장 항공사진(왼쪽) http://dmaps.kr/5a3h
* 80387 CPU 현미경사진 (오른쪽) http://www.cpu-galaxy.at/Article/microscope.htm

+ Recent posts